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얌체 운전자들이 안내고 버티는 교통 과태료가 한 해 2천억 원을 넘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과태료 낼 돈은 없으면서 해외 여행가고 명품 쇼핑 즐길 돈은 따로 있나 봅니다. <br> <br>이런 얌체들을 잡으러 공항 주차장, 아울렛 주차장에 단속반이 떴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배영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김해공항 주차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해외여행에 나선 사람들이 몰고 온 차량들로 가득한데요. <br> <br>이곳에서 과태료가 밀린 차량들의 번호판을 떼는 단속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><br>번호판 자동인식장치를 설치한 순찰차가 주차장을 돕니다. <br> <br>교통법규를 위반해 부과된 과태료를 2회 이상, 30만 원 이상 체납한 차량을 찾는 겁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뚜뚜~" <br> <br>얼마안돼 적발된 승용차, 운전자는 과태료 50만 원을 안냈습니다. <br> <br>앞유리에 붙은 전화번호로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습니다. <br> <br>단속 경찰관이 번호판을 떼고 앞유리에 영치증을 붙입니다. <br> <br>이렇게 떼 낸 번호판은 밀린 과태료를 내야 다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번호판을 떼인 채 운행하다간 300만 원 이하 과태료가 추가 됩니다. <br> <br>잠시후 포착된 또 다른 차량. <br> <br>차주는 고급 차량을 몰면서도 과속 과태료 40만 원을 안 냈습니다. <br> <br>연락을 해보니 해외에 나가 있습니다. <br> <br>[과태료 체납 운전자] <br>"뭔데 영치를 해요? 내가 낼 테니까. 지금 번호판 가져가지 말고, 가만히 두세요." <br> <br>쇼핑객들이 몰리는 아울렛. <br> <br>이 곳도 과태료 미납 차량들이 자주 적발되는 곳 중 하나입니다. <br> <br>연락을 받고 나온 운전자, 과태료는 최대한 미루는게 이득이라며 엉뚱한 핑계를 댑니다. <br> <br>[과태료 체납 운전자] <br>"비싼 스티커 떼이면 바로 내면 누가 벌점을 먹고 그런다던데. 차 팔 때 내라고 하더라고. 친구가 자꾸 그러더라고요." <br> <br>경마장도 마찬가지. <br> <br>과태료를 체납한 차량들이 곳곳에서 포착됩니다. <br><br>그런데 경찰 단속은 아랑곳 없이 눈앞에 경마가 우선입니다. <br><br>[과태료 체납 운전자] <br>"나가지는 못하는데, 문자를 보내주세요. 납부할게요." <br> <br>[과태료 체납 운전자] <br>"지금은 못 나갑니다. 나가면 못 들어옵니다." <br> <br>과태료 4백만 원을 미납한 운전자는 번호판을 왜 떼가냐며 되레 큰소리입니다. <br> <br>[과태료 체납 운전자] <br>"살다 보면 쌓일 수 있고 하는 거죠. 꼭 이런 식으로 압류를 해야 하나요. 서민들한테는 무조건 짜서 받아내려고 그러고." <br> <br>[임동일 / 부산강서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사] <br>"욕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있고, 경찰서에 직접 찾아와서 흉기를 들고 오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." <br> <br>취재진이 동행한 나흘간 번호판이 영치된 차량은 30대가 넘습니다. <br> <br>교통법규를 위반하고도 내지 않은 과태료는 지난해에만 2천억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매년 3백억 원 이상 씩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. <br><br>[정혜영 / 부산경찰청 교통과 경위] <br>"체납이 되면 5년간 최고 75%의 가산금이 붙고, 예금, 급여, 부동산 압류 등을 통해 적극적인 징수 활동을..." <br> <br>해외에 나가고, 쇼핑을 하고, 경마를 즐길 돈은 있어도, 과태료 낼 돈은 없는 상습 체납자들의 삐뚤어진 행태에 공권력이 낭비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김지균